주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교육목표

교육목표

제약산업 핵심인력 양성으로 지역 및 국가 경제에 견인차인 인력을『전주기적』양성을 위해 연구/실무 교육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미래 산업인 제약 산업 특화된 능력과 소양을 겸비하고 글로컬 마인드를 품은 제약 산업 전문가형 특화인력을 배출하기 위하여

  • “지역 산업 및 사회에 헌신하는 인격자”
  • “지역 제약 산업에 특화된 Specialist”
  • “글로벌 마인드를 가진 세계시민”
  • “지역을 통한 국제화의 선봉 글로컬 인력”양성을 교육목표로 한다.
교육목표 관련 이미지입니다.

세부목표

  • 01전문적인 기초지식 습득
    • 1.1 제약산업관련 산업에 필요한 전문적 인재의 배출을 위하여 우선 우리대학 내 기초과학(화학/수학) 관련 교수진을 대거 학과로 유입시켜 근본에 충실한 기초과학 학문을 포함한 다양한 학문을 학생들에 제공한다.
    • 1.2 BT융합 제약공학과 참여 학과인 의생명과학과와의 융합으로 최근의 제약 산업 트렌드인 바이오 의약품 및 그 관련 산업과의 연계를 도모하여 기초에 충실하며 그 응용성이 배가된 교육/연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선진화는 본 사업단 목표 제약 산업 핵심인력의 양성화를 위한 교육/연구 기반조성을 한다.
    • 1.3 제약 산업 미래 4대 직군과 연계산업 (기능성화장품, 기능성 식품, 임상시험)의 연계성에 따라서 조합하여 트랙별 전문가 양성을 위해 이수해야 할 전공의 교과과정을 추천 설정하고 이에 따른 진로 맞춤형 교육과정을 제공하기 위해 3학년부터 실무트랙과 진학트랙으로 트랙 이수의 인증을 위해 트랙별 이수 교과목을 하여,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전문가 역량을 향상되는 교과목을 제공한다.
  • 02다양한 진로 선택을 위한 준비
    • 2.1 제약 산업 미래 4대 직군인 R&D, 임상시험, 시판허가, 기술사업화 직군 및 의약정보사, 변리사, 생물공학기사, 화학분석사 등의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과/비교과 과정 및 방과 후 수업을 진행한다.
    • 2.2 인근 기업과의 취업 인턴십 제도를 시행한다.
    • 2.3 외국인 교수 초빙 및 영어수업 진행을 통한 외국어 학습능력을 함양 및 배양한다.
  • 03 기업 및 연구소 현장 적응 능력 배양
    • 3.1 BT융합 제약공학과와 현재 MOU 체결된 기업에서 교과 과정 운영함으로써 현장 적응 및 문제 해결 능력 등을 배양한다.
    • 3.2 멘토링 및 직장체험 프로그램을 통하여 단기(4주 및 8주) 장기(학기) 인턴십 프로그램 참여한다.
  • 04 지역 사회와 연계한 교육프로그램
    • 4.1 주민 산학 그리고 대학이 함께하는 다양한 주·산·학 프로그램을 통하여 인근 고교 학생들의 과학 캠프 운영 및 기부프로그램을 통한 지역 사회와의 협력 강화한다.
    • 4.2 인근 지역 기업에서의 현장 실습 제도를 운영한다.
    • 4.3 지역 기업의 연구소 활동을 지원한다. (기자재 대여, 프로젝트 공동 참여 등)
  • 05 다양한 장학금 프로그램
    • 성적우수, 근로학생 장학금
    • 실무/연구 트랙 우수학생 장학금
    • 우수전공/창업동아리
    • 멘토링 우수자
    • 포트폴리오 우수학생
    • 교과 프로젝트 장학금
    • 기타 장학금 (외부 수탁 장학금)

인재상

  • 능력과 인간성을 겸비한 제약, 바이오 및 화장품 산업 전문가
  • 타인에 대한 배려심과 동시에 자신의 생각을 명확하게 발표하고, 또한 전공문제 해결능력을 갖춘 봉사형 리더

전공 역량의 구조

전공 역량의 구조 자세한내용 아래내용참고

전공역량 = 전공 교육과정에서 필요한 선문 핵심 역량 + 전공 틍성화 역량

교과목과 핵심역량 연관성 분석표

교과목과 핵심역량 연관성 분석표
자기개발 역량 G02 헬스케어시장이해 역량 S01
자원·정보·기술 활용 역량 G03 제약바이오 품질관리 역량 S02
의사소통 역량 G07 실험설계역량 S03
팀워크 역량 G08
교과목과 전공역량 간의 관계 매트릭스
순번 교과목명 G01 G02 G03 G04 G05 G06 G07 G08 S01 S02 S03
1 GMPⅠ 10 10 10 10 10 30 20
2 GMPⅡ 10 10 10 10 10 30 20
3 고급분자생물학 30 25 15 5 5 10 10
4 기기분석Ⅱ 20 15 10 10 10 20 15
5 기기분석Ⅰ 15 10 10 10 15 20 20
6 기기분석실험
7 기능성 식품학
8 기능성식품학 20 5 5 10 20 20 20
9 기초종합설계Ⅰ(Capstone Design) 15 5 5 20 20 20 15
10 기초종합설계Ⅱ(Capstone Design) 15 5 5 20 20 20 15
11 면역학
12 백신의약
13 밸리데이션 15 15 5 10 20 20 15
14 병위미생물학
15 분석화학
16 분자생물학 20 15 10 5 15 20 15
17 분자유전학
18 생리학 30 25 15 5 5 10 10
19 생명공학Ⅰ 20 15 15 5 5 10 20
20 생명공학Ⅱ 20 15 5 10 15 15 20
21 생물통계학 20 10 5 10 15 15 10
22 생물통계학실험 20 10 10 10 20 20 10
23 생화학Ⅱ 20 15 10 10 20 15 10
24 생화학Ⅰ 20 15 10 10 20 15 10
25 실무심화실험Ⅰ 20 15 20 5 10 25 5
26 실무심화실험Ⅱ 20 15 20 5 10 25 5
27 약리학
28 약용생물학
29 약전 20 20 5 5 20 20 10
30 약품가공실험 10 10 10 20 20 15 15
31 약품분석실험 10 10 10 20 20 15 15
32 연구심화실험Ⅰ 20 10 10 10 15 20 15
33 연구심화실험Ⅱ 20 10 10 10 15 20 15
34 유기화학Ⅰ 15 15 10 20 15 25
35 유기화학Ⅱ 15 15 10 20 15 25
36 유전자재조합실험
37 의약미생물학 15 25 25 10 5 10 10
38 의약미생물학실험 25 15 10 20 15 10 5
39 의약바이러스
40 일반생물학Ⅰ 30 10 30 20 10
41 일반생물학Ⅱ 30 10 30 20 10
42 일반생물학실험Ⅰ 30 10 10 10 20 10 10
43 일반생물학실험Ⅱ 30 10 10 10 20 10 10
44 일반수학 30 10 20 10 10 10 10
45 일반화학Ⅰ 30 10 30 20 10
46 일반화학Ⅱ 30 10 30 20 10
47 일반생물학실험Ⅰ 30 10 10 10 20 10 10
48 일반생물학실험Ⅱ 30 10 10 10 20 10 10
49 임상병리학
50 제약공정공학
51 제약공학개론Ⅰ 10 10 10 1 20 20 20
52 제약공학개론Ⅱ 10 10 10 10 20 20 20
53 제약바이오실무Ⅱ(창업) 15 10 10 10 15 20 20
54 제약바이오실무Ⅰ(창업) 15 10 10 10 15 20 20
55 제약연구인턴Ⅰ 15 20 10 5 30 10 10
56 제약연구인턴Ⅱ 15 20 10 5 30 10 10
57 제약현장실무Ⅰ 15 10 5 20 20 20 10
58 제제공학Ⅰ 15 10 10 10 15 25 15
59 제제공학 Ⅱ
60 졸업논문실험Ⅱ 20 20 10 10 20 10 10
61 졸업논문실험Ⅰ 20 20 10 10 20 10 10
62 품질관리학
63 확률과통계 30 10 20 10 10 10 10

최근업데이트 : 2023/08/02    ad***

자료관리 : 학과 전체 콘텐츠 관리

담당자 : 김승영 / 연락처 : 041-530-2390

게재된 내용 및 운영에 대한 개선사항이 있으면 자료관리 담당자에게 연락하시기 바랍니다.